글마루 | GEULMARU

로그인 회원가입 즐겨찾기추가하기 시작페이지로
글마루 로고


 

존재의 의미를 탐구하는 작가
조슬랭 아크와바 마티뇽


좋은 작품은
치유하는 힘이 있다


Jocelyn Akwaba-Matignon,
Artist Who Explores The Meaning of Existence


Great work has
the power to heal.


글. 백은영 사진제공. TN컨설팅


01.jpg
자신의 작품(시간의 황금 (L'or du Temps), 캔버스에 아크릴, 100×200cm, 2016)
옆에서 포즈를 취하는 작가 조슬랭
 



 ‘나는 어디로부터 와서 어디로 가는가’에 대한 탐구.
이는 자기정체성의 탐구이자 존재에 대한 탐구다.
지난 10월 한국과 프랑스 수교 130주년을 기념하는 ‘한-불 상호 교류의 해 2015-2016’
공식사업 중 하나로 열린 ‘조슬랭 아크와바-마티뇽’ 작가의 전시회는 바로 이런 물음에 대해 진지하게 고민하게 만드는 자리였다.

The quest for ‘Where Do We Come from, What Are We, Where Are We Going’.
This is the quest for self-identity and existence.
Jocelyn Akwaba-Matignon’s exhibition was the good venue to seriously think about
this question, as part of official projects of ‘The Korea-France Year 2015-2016’
marking 130 years of diplomatic ties between Korea and France in October.


02.jpg
조슬랭과 그의 설치작품 ‘치료의 바퀴’
 

   

 뒤로 길게 땋아 내린 머리. 다부진 체격에 살짝 그을린 듯한 피
부. 분명 ‘지금 이 순간’에 존재하면서도 현재가 아닌 과거 혹
은 미래에 있는 듯 묘한 표정. 삶을 옥죄는 많은 현실로부터 벗
어났을 때 비로소 보이는 평온한 미소. 조슬랭 아크와바-마티
뇽, 그의 첫인상이다.

“이번 예술작품은 우리가 가진 문화의 다양성과 일반적인 예
술의 보편적 의미 그리고 사람들을 결집시켜 하나 되게 하는
예술의 힘에 대한 물음입니다. 우리의 인간적인 모습 중 어떠
한 요소들이 우리 서로를 연결시키고 가까워지게 해주는가에
대한 것이죠.”

조슬랭. 그에게 있어 예술이란 그저 눈에 보이는 것에만 머물
지 않는다. 그는 말한다. 눈에 보이는 세상을 이루고 있는 물질
요소들의 ‘무한’으로부터 우리 ‘존재’ 본질의 영속적 요소들에
이르기까지, 여러 겹으로 겹쳐 구성된 회화작품을 통한 이번
‘탐색’은 우리 인간 탐구의 거울이라고. 그가 이번 전시의 주제
를 ‘무한에서 중심으로(From the Infinite to the Center)’라고
정한 이유다. 다소 무겁고 어렵지만 간과할 수 없는 주제다.

“‘알기’ 위해 우리는 측량 가능한 세상을 탐험하는 필연적인
과정을 거친 후 ‘앎(지식)’을 향해 나아가기 위해 우리 자신과
모든 만물의 중심으로 돌아옵니다. 곧 자기정체성의 탐구이자
존재에 대한 탐구입니다.”

작가 조슬랭은 1961년 프랑스령 과들루프에서 태어났다. 과들
루프는 ‘붉은 피부를 가진 사람들’인 아메리카인디언 아라와
크족의 거주지였다고 한다. 그 후 대 마야문명 혹은 대 잉카문
명의 후손인 아메리카대륙 출신의 카리브인이 정착했다. 조슬
랭 아크와바 마티뇽, 그는 스스로가 “나는 유럽인이기도 하고
아프리카인이기도 하며, 아메리카인디언이기도 하다”고 말한
다. 그의 회화작업에서 존재의 본질을 찾기 위한 탐구의 흔적
이 보이는 이유가 여기서 나온다.

그를 처음 만나 받은 느낌. 역시 사람은 몸속 깊이 내재된 ‘뿌
리(핏줄)’를 뿌리칠 수 없는 존재임을 새삼 깨닫는다. 뿌리, 그

것은 억겁의 시간이 흘러도 거스를 수 없는 운명과도 같다. 그
렇기에 인간으로 태어나 자기정체성에 대해 고민하고, 나아가
존재에 대한 탐구를 멈출 수 없는 것은 어쩌면 숙명인지도 모른
다. 이는 그가 여행을 즐기는 이유 중 하나이기도 하다. 그렇게
여행을 통해 받은 영감은 고스란히 작품 속에 녹아난다. 또한
만남, 얼굴, 삶의 이야기와 같은 모든 것들이 영감의 원천이 된
다. 그만큼 관심도 호기심도 많은 그다. 특히 연금술적인 탐색
즉 모든 의미에서의 빛을 찾는 것에 관심이 많다고 귀띔한다.


조슬랭, 그를 만든 세 가지 축
2003년 이후 고향 섬 과들루프(Guadeloupe)에 정착해 예술
활동을 하고 있다는 조슬랭. 그에게 있어 과테말라는 모든 것
의 근원이 되는 나라이자 내면의 유토피아다.

“과테말라 여행은 저에게 뜻 깊은 만남들을 선사했고 제 미술적
영역이 많이 바뀌는 계기가 됐습니다. 꿈과 상징과 마법의 공간
들이 제 안에 새로 자리를 잡게 된 것이죠. 이러한 배경 속에서
그림을 그린다는 것은 곧 깨달음을 향한 발걸음이 되었습니다.”

과테말라에서 무슨 일이 있었던 것일까. 그는 그곳에서 스승
을 만나 샤머니즘을 접하게 되면서 예술의 치유기능을 생각하
게 된다. 작품 세계가 바뀐 것이다. 물론 고대 멕시코 및 과테
말라를 중심으로 번성한 인디오 문명인 ‘마야문명’의 영향도
간과할 수 없다. 사회와 경제 제도, 천문학, 수학, 조각, 의학 그
리고 예술적 측면에 이르기까지 가장 뛰어난 라틴아메리카의
고대 문명으로 평가받고 있는 마야문명. 여전히, 아니 지금까
지도 ‘신비함’으로 남아 있는 이 고대 문명에 매혹된 그는 점점
더 탐구의 영역을 넓혀갔다. 그가 다독가일 수밖에 없는 이유
다. 그가 찾고 탐구하고자 했던 영역에 대한 고뇌는 그의 작품
을 통해 간접적으로나마 만나볼 수 있다.
 
전시회 테마인 ‘존재 의미를 찾는 자들’은 마야문명의 우주생
성이론에 바탕을 두고 있다. 마야이론에 따르면 ‘취시통(吹矢
筒, 입으로 불어 화살을 쏘게 만든 통)을 들고 있는 인간’ 즉
‘후나푸(Junajpu)’라는 존재 의미 탐구자가 등장하는데 바로
이 인물을 참고한 것이다.


Long braided hair. Stocky body with the lightly tanned skin.
Mysterious expression on his face as if he is in the past or future
even though he exists ‘at this moment’ indeed. Peaceful smile
that one can wear only when he is free from reality suffocating
his life. That’s all his first impression, Jocelyn Akwaba-
Matignon.

“This art work is a question about the power of art that unites
the diversity of culture, the universal meaning of art, and
people. This is about what elements out of humane qualities
connect one another and make us closer.”

Jocelyn. To him, art does not merely exist as a visible thing.
He tells. Through the painting work layered from ‘Infinity’ of
physical elements constituting the visible world to permanent
elements of our ‘existence’ nature, this ‘quest’ is the mirror of
quest for human beings. That is why this exhibition theme is
‘From the Infinite to the Center’. The theme is somewhat heavy
and difficult, yet not negligible.

“We return to the center of ourselves and all things to move
toward ‘knowledge’ after going through the imperative process
of exploring the measurable world to ‘know’. This is the very
quest for self-identity and existence.”

An artist Jocelyn was born in 1961 in French Guadeloupe
that was once the residence of America Indian Arawak, ‘a red
skin people’. Later, Carib who were from Americas, or the
descendants of the Great Mayan Civilization or the Great Inca
civilization settled down. With this background, we can find
the trace of quest for the essence of existence from Jocelyn
Akwaba-Matignon’s painting work. That’s why he calls himself
“I am an European, African and American Indian.”

 What I felt from him at first. I realized again that man is a
human being that can’t resist ‘root(sinew)’ buried deep in the

body. Root, that is like a destiny that no one can defy over an
eternity. Therefore, man could be destined to agonize over selfidentity
and further continue to explore existence. This is one
of the reasons why he enjoys traveling. Inspiration from his trip
is all reflected in his work. Also, all things including meeting,
face and life story are a source of inspiration to him. He is so
much interested and curious. Especially, he hints that he has
great interest in alchemistic quest, or finding the light in every
sense.

Jocelyn, Three Pillars that Make Him What He Is Today
Jocelyn has settled down in Guadeloupe, where he continues
on with his art activities since 2003. Guatemala is a country of
the source of everything and inner utopia to him.

“My trip to Guatemala provided me with meaningful meetings
and became a turning point in my artistic area. The spaces of
dream, symbol and magic newly settled into me. With this
background, painting became a step forward realization.”

What happened to him in Guatemala. He encountered a
mentor who led him to shamanism, which allowed him
to think of a healing function of art. His world of art has
changed. Of course, we cannot neglect the effect of ‘Mayan
Civilization’ that is Central American Indian Civilization that
has prospered centering on ancient Mexico and Guatemala.
Mayan Civilization has been recognized as the greatest ancient
civilization of Latin America from all aspects such as social and
economic system, astronomy, mathematics, sculpture, medicine
and art. Jocelyn mesmerized by this ancient civilization, which
remains 'a mystery’ still, better to say even to this day, has
gradually expanded the area to explore. That’s why he should
be an extensive reader. The torment about the area to explore is
shown indirectly in his work.

An exhibition theme ‘Those who seek for the meaning of
existence’ is based on the theories of the universe creation in
Mayan Civilization. According to Mayan Civilization, ‘Man
who holds blowpipe’ or ‘Junajpu’, a seeker for the meaning of
existence appears. And, this figure was referred to in his work.



03.jpg
밭즈Ⅱ(BATZⅡ), 캔버스에 아크릴, 40×40cm, 2016
 

나는 예술이라는 수단과 방법 그리고 화가로서의 경험을 통해 세상의 마법을 어루만지기로 선택했다.
이것이 불가능하다는 사실을 몰랐던 나로서는 바로 그러했기 때문에 해보았다. 그리고 나는 이제 이것을 여러분에게 선사하여 공유하고자 한다.

I chose to touch the magic of world through a tool and means of art and my experience as an artist.
I did so because that was what it was about, to me who never knew it was impossible. And now, I want to provide and share it with you.


“마야의 우주생성이론은 세 가지 축을 이루는 제 인생행로에
서 나왔다고 할 수 있습니다. 25년 전 프랑스와 유럽의 숲에서
땅의 기운에 대해 연구하기 시작했는데 그곳에서 숲을 이루는
재료들을 바탕으로 본격적으로 공부하게 됐죠. 이것이 세 부
분으로 이뤄진 인생행로 중 첫 번째 축입니다.”

숲에서 땅의 기운을 연구하던 그는 이후 아프리카, 부르키나
파소와 베냉으로 건너가 ‘가면’의 정신에 대해 연구하게 된다.
두 번째 축이다. 2003부터 시작된 고향 과들루프에서의 생활
이 마지막 세 번째 축으로 그는 이곳에서 아메리카인디언이
선사하는 전율과 감동에 대해 연구하고 있다.

“저는 유럽인이기도 하고 아프리카인이기도 하며 또 아메리카
인디언이기도 합니다. 그래서 정말로 세 가지의 합체라 할 수
있죠. 마야의 우주생성이론을 생각하게 된 것은 과들루프를
지도로 보게 되면 너무도 당연합니다. 과들루프에서 조금만
눈을 움직이면 바로 과테말라가 보이니까요. 그래서 과테말라
로 가게 된 거죠.”

“Mayan theories of the universe creation could come from my
life journey forming three pillars. I started studying the energy
of the earth in the forests of France and Europe, focusing on
the materials forming the forests in earnest. This is one of the
three pillars in my life journey.”

After he studied the energy of the earth in forests, he moved to
Burkina Faso and Benin in Africa to study the spirit of ‘mask’.
This is the second pillar. His life in Guadeloupe, his hometown
where he settled down after 2003 is the third and last pillar.
He is now studying the thrill and touching given by American
Indians.

“I am an European, African and American Indian. So, I am a
combination of the three. It seems so obvious to think about
the Mayan theories of the universe creation when finding
Guadeloupe on the map. When you move your eyes a little
from Guadeloupe, you can see Guatemala. That’s why I moved
to Guatemala.”



 

04.jpg
조슬랭을 상징하는 삼각형 모양의 로고는 그가 경험한 유럽-아프리카-아메리카의 여정
을 나타낸다. 또한 물, 여성, 삼위일체, 연금술의 세 가지 성분, 성배 그리고 보이지 않는
세계에 대한 인식을 상징하기도 한다.
A triangle logo symbolizing Jocelyn means his experienced journey of Europe-
Africa-America. It also symbolizes water, women, the Holy Trinity, three
elements of alchemy, the holy grail, and the awareness of invisible world.
 

 

탐색, 그만의 작품 세계를 만들다
“서로 다른 인종적, 문화적 정체성을 초월한 인류 보편의 우주
관에 담긴 평화와 인류애를 전하고 싶습니다. 이번에 전신된
42점의 회화와 설치, 영상물을 통해 동서양을 초월한 보편적
우주관을 자유로이 사유하고 탐색하길 바랍니다.”

그의 작품이 전시된 전시회장 중앙에는 어디선가 본 듯 익숙하
면서도 독특한 구조의 조형물이 설치돼 있다. ‘치료의 바퀴(또
는 의학바퀴)’로 불리는 이 설치 작품은 전통적으로 바닥에 놓
이는 돌들로 만들어진다. 이름에서 보이는 것처럼 ‘인간 존재
의 총체를 치유’하는 역할을 한다. 아메리카인디언 세계에서

이 바퀴는 신체의 모든 면에서 인간 존재의 모든 것을 치료하
는 데 사용된다. 그에 따르면 치료의 바퀴는 여러 상징체계를
가지고 있는데 주로 태양과 관련되며 그 속에 숫자 7을 감추고
있다. 이번 전시를 위해 특별히 서울 인왕산에서 수집한 자연
소재들을 사용해 ‘치료의 바퀴’를 만들었다.

“‘치료의 바퀴’에는 우선 4개의 방향이 있습니다. 첫째는 떠오
르는 태양인 붉은색, 두 번째는 북쪽의 태양 흰색, 그 다음은 검
은색으로 표현되는 저무는 태양 그리고 남쪽의 태양 노란색입
니다. 이 네 개의 색과 네 개의 방향으로 인간은 진화합니다. 다
음으로는 땅의 기운인 녹색과 하늘의 기운인 파란색이 있습니
다. 마지막으로 일곱 번째 색은 치료의 바퀴 중앙에 있는 인간
의 심장입니다. 지혜로움에 이르기 위해서는 바로 이 심장에
대해 연구해야 합니다.”

마야의 우주생성이론에서 말하는 ‘치료의 바퀴’의 네 가지 기
본 색(붉은색, 흰색, 검정, 노랑)은 옥수수에 근거를 두고 있다
는 것이 조슬랭의 설명이다. 그에 따르면 이 옥수수가 있었기
에 인간이 탄생할 수 있었고, 이 옥수수를 이루는 네 가지 색은
또한 인류의 네 가지 색을 상징하기도 한다.

뚜렷한 상징성을 가지고 있는 ‘치료의 바퀴’는 먼저는 세상 속
에서의 작가 자신의 자리를 느끼게 했다. 연구자이자, 화가 그
리고 조형예술가로서의 사유방식에 그 자신만의 의미를 부여
할 수 있게 했으며, 시간과 공간 속에서 스스로를 위치시키도
록 했다. 쉽게 말해, 작가 자신만의 뚜렷한 작품세계를 끌고 갈
힘을 줬다는 말일 것이다.

“제 예술작업은 확실히 마야의 상징이론 및 샤머니즘과 연관이
있습니다. 무아지경이란 말이 있습니다. 제 생각에 무아지경은
음악의 일부를 들으면 털이 곤두서거나 다른 에너지 영역에 있
는 것 같은 느낌이에요. 이처럼 우리는 한 폭의 그림 앞에서 또
는 우리에게 간섭현상을 일으키는 치료의 바퀴 앞에서 자신을
되찾을 수 있죠. 그렇게 되면 우리 안에서 어떤 무언가가 일어
날 것입니다. 우리는 무언가를 깊이 느끼게 되고 또 체험상태
에 머물게 됩니다. 제가 하는 모든 예술작업이 저를 바꿔놓았
습니다. 각각의 그림단계, 제가 완성하는 그림 하나하나, 설치
예술품 하나하나가 저를 변화시켰습니다. 그래서 여기 전시된
작품들을 보고 있으면 어떤 일이 일어날 수도 있어요. 어떤 신
비로움, 불가사의 같은 것 말입니다.”

그의 작품에는 ‘키우칸(키: qui[누가, 무엇이]/ 우: où[어디
에]/ 칸: quand[언제])’이라는 존재가 등장하는데, 그가 꿈에
서 본 인물(여러 개의 팔과 다리를 가지고 기이한 머리를 가
진)을 투영한 것이다.

“키우칸은 제 모든 작품들 속에 두루 존재하고 있습니다. 키우
칸은 우주 속에서 우리의 자리에 대해 질문을 합니다. 여러 다
양한 모습으로 몸을 바꾸기도 하며 질문을 던지는 비밀스럽고
신비한 기운, 정신, 의식이라 할 수 있죠. 영어권 사람들에게는
작품 위를 떠도는 ‘WhoWhereWhen’ 즉 ‘WWW’입니다.”

그의 이야기를 듣고 있으면 다소 어렵게 느껴질 수 있다. 신기
한 것은 어렵고 다분히 상징적이지만 공감이 간다는 것이다.
누구나 한번쯤은 자아에 대해, 인간 본질에 대해 고민해본 경
험이 있기 때문이다. 다만 그가 좀 더 깊이 사유하고 탐구한 결
과이기에 그의 작품들을 보며 그가 도달한 수준의 이면적인
뜻을 알아차리기란 쉽지 않다. 더욱이 3개 대륙(유럽-아프리
카-아메리카)의 혈통을 가진 그가 아닌가. 그는 작품을 통해
무엇을 말하고 싶었던 것일까. 사람들은 그의 작품을 보며 무
엇을 발견하고 함께 사유해야 하는 것인가.

조슬랭 아크와바 마티뇽. 그가 건넨 대답은 간단하다.
“제 작품은 방향을 제시할 뿐입니다. 어떠한 판단이나 편견 없
이 아이들처럼 그저 그림을 바라보고 느끼고 감상하면 됩니
다. 작품을 보며 느끼고 깨닫는 것은 다른 사람의 경험을 빌릴
수 있는 게 아니니까요. 무엇을 느끼고 발견하느냐 하는 것은
각자의 몫입니다.”

Quest, His Unique World of Work
“I want to convey peace and love for humanity embodied in a
universal vision of the universe that transcends different racial
and cultural identity. I hope you freely think about a universal
vision of the universe that transcends the East and the through
the selected 42 paintings, installations and videos.”

In the middle of the exhibition hall, his sculpture that
looks familiar yet unique is installed. This sculpture called
‘Wheel of Healing (Medical Wheel)’ is made of stones that
are traditionally laid on the floor. Namely, it plays a role in
‘healing the whole human being’. This wheel is used for healing
the whole human beings in every aspect of the body in the
American Indian World. According to him, Wheel of Healing
has many symbolic systems that are mostly related to sun while
hiding the number 7.

“First of all, there are 4 directions. First, the rising sun is red.
Second, the sun of the North is white. Next, the setting sun is
black, and the sun of the South is yellow. Man evolves toward
the four colors and directions. Next, there is green energy of the
earth and blue spirit of sky. Lastly, the seventh color is the heart
of man in the middle of Wheel of Healing. To reach wisdom,
we have to study this heart.”

According to him, the four basic colors(red, white, black,
yellow) of ‘Wheel of Healing’ in Mayan theories of the universe
creation is based on corn. He added that human was created by
this corn, and the four colors forming the corn symbolize the
four colors of humankind.

‘Wheel of Healing’ with clear symbolism had him feel his
position in the world. Then, he could put his own meaning to
a way of thinking as a researcher, artist and sculpture artist, and
locate himself in time and space. Easily speaking, it seems to
mean that he was motivated to lead his own world of work.

“My artwork is certainly related to Mayan symbol theory and
shamanism. There is a saying ‘Going into a trance’. I think
that going into a trance is the moment when you are thrilled
by music or you feel like standing in a different energy field.
Like this, we can find ourselves before a painting or ‘Wheel
of Healing’ that causes us an interference phenomenon. If so,
something would happen to our mind. We feel something
deeply and stay at a state of experience. All of my artwork
has transformed me. So, when you look at the exhibited
works, something may happen. Something mysterious,
incomprehensible.”

In his work, the existence of ‘Qui-Ou-Quand(qui[Who,
What]/ où[Where]/ quand[When])’ appears, reflecting the
figure(with a bizarre head and many arms and legs) he saw in
his dream.

“Qui-Ou-Quand exists all around my works. It asks us about
our position in the universe. It is secretive and mysterious spirit,
mind and sense changing the body in various different looks and
asking questions. To English speakers, it is WhoWhereWhen’ or
‘WWW’ floating on the work.”

When you listen to his story, you find it is a little difficult.
What is interesting is that his story is somewhat symbolic and
difficult but get the sympathy. Everyone thinks deeply about
the essence of a man at one time or another. But, his works are
the result of what he has thought and explored more deeply
so that they are not easy to find the hidden meaning of the
level he has reached. Furthermore, he has parentage of three
continents(Europe-Arica-America). What did he want to tell
through his work? What should people find and consider
together through his work?

Jocelyn Akwaba-Matignon, his answer is simple
“My work suggests the direction. You can just feel and
appreciate my painting like a child with neither judge nor bias.
What you watch and feel cannot borrow others’ experience.
What you feel and find is every man for himself.”



조슬랭 아크와바 마티뇽 프로필
1961년 12월 25일 프랑스령 과들루프 출생
프랑스 브장송, 조형예술표현 고등 국가학위
DNSEP 5년 취득
프랑스 앙제 미술학교
프랑스 라 로슈 쉬르 용 예술학교
프랑스 파리, 유리기술공예, 도리언학교
Jocelyn Akwaba-Matignon Profile
Born in French Guadeloupe on December 25, 1961
Achieved DNSEP (Diplôme National Supérieur
d'Expression Plastique, 5-year) in Besançon, France
École des Beaux-arts d'Angers
École d'arts de La Roche sur Yon
École Dorian


05.jpg
Mutus Rebis, 캔버스에 아크릴, 150×300cm, 2016
 
06.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