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마루 | GEULMARU

로그인 회원가입 즐겨찾기추가하기 시작페이지로
글마루 로고


 

※ 본 작품은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고 있습니다. 무단 사용 시 법적 처벌을 받을 수 있습니다
 
 
북한평화방문단조직위원회 리훈 위원장
 
그리운 금강산에서
평화를 그리다
 
그 이름만으로도 애틋하고, 그 모습을 떠올리는 것만으로도 가슴 먹먹해지는 산이 있다. 민족의 영
산(靈山) 금강산(金剛山)이다. 언제쯤이면 그리운 금강산 1만 2000봉을 마음 편히 마음에 담을 수
있을까. 그립고도 그리운 땅. 생각할수록 애달프고 애잔한 우리의 한 핏줄이 사는 그곳. 금강산은
태고부터 거기 있어 남과 북이 다시 서로를 부둥켜안고 자신을 찾을 날을 기다리고 있다.
 
글 백은영 사진 이경숙
 
 
02_491.jpg
수정봉 금화(金畫) (중국의 저명작가 故 리영 작품, 1998) 금강산의 아름다움을 순금으로 표현했다.
 
 
 
03_597.jpg
 
Hoon, Lee the president of Orgianizing Committee of North Korea Peace Visit
Dream peace in missed Mt. Geumgang
There is a mountain of which name is fond and of which images is heartbreaking. It is the mystical mountain of our people,
Mt. Geumgang. When can we comfortably recall 12,000 peaks of Geumgang Mountain? So much missed land. The land
where our heartrending and sorrowful compatriots live. Mt. Geumgang is there from time immemorial and waits the moment
when South Korea and North Korean hug each other and visit him.
 
 
 
04.jpg
 
 
“누구의 주재련가 맑고 고운 산/ 그리운 만이천봉 말은 없어도/ 이제야 자유만민 옷깃 여미며/그 이름 다시 부를 우리 금강산/ 수수만년 아름다운 산/ 더럽힌 지 몇몇 해/ 오늘에야 찾을 날 왔나/ 금강산은 부른다”
 
“Who made this clean and beautiful mountain?/ though the missed 12,000 peaks say nothing / now free people adjusted their dress/ our Mt. Geumgang of which name is called again / eternally beautiful mountain / defiled for many years / is this the day we can come ? / Mt. Geumgang calls”
 

분단의 아픔을 안고 살아가는 한민족에게 있어 부르면 부를수록 그리워 눈물 나지 않는 이름이 어디 있겠는가. 그중 금강산은 민족의 영산으로 우리 민족이 정신적 위기를 겪을 때나 나라에 큰 역경이 있을 때마다 그것을 극복할 수 있는 힘과 연관되어 우리 민족의 정신세계를 형성하는 본산(本山)으로서 그역할을 톡톡히 해왔다. 그래서인가. 금강산은 그 이름만으로도 가슴 시리다.
 
Are there any names which are not missed and can be call without tear by our people who has pain of division? Among those names, Mt. Geumgang is the mystical mountain of our people. Whenever our people faced with spiritual crises or national adversities, it always gave us strength to overcome them as a major mountain to shape our mental world. The name of Mt. Geumgang is heartbreaking.
 
바로 이 금강산에 ‘세계청년평화캠프장’을 설치해 한반도 통일과 지구촌 평화를 위한 발판을 삼자고 주장하는 이가 있다. 바로 ‘금강산세계청년평화
CAMP Olympic 조직위원회’ 및 ‘북한평화방문조직위원회’ 위원장으로 있는 리훈 박사다.
 
There is a person who claims to construct ‘World Youth Peace Olympic Camp’ on Mt. Geumgang as a base of unification of Korean Peninsula and world peace. This person is Dr. Hoon Lee, the president of ‘Orgianizing Committee of Geumgang Mountain World Youth Peace Olympic Camp’ and ‘Orgianizing Committee of North Korea Peace Visit’.
 
 
더불어 사는 삶의 미학
The value to live together

 
“봉사와 평화는 자기 자신이며, 가족이고 이웃입니다. 또한 인간 정서의 본질이지요. 인문학의 본질도 바로 봉사와 평화입니다. 사람이 더불어 살아가는데 있어 필요한 것들이죠. 한마디로 말해 이웃과 사회 나아가 인류를 위해 내가 할 수 있는 행동을 취하는 것, 그것이 인문학의 본질이자 인간 정서의 본질인 것입니다.”
 
"Service and peace is oneself, a family and a neighbor. Also, it is essential of human emotion. The essence of the humanities is service and peace. That is needed for human life. In one word, do what I can do for neighbors is the essence of the humanities and the essence of human emotion."

봉사와 평화를 인생의 화두로 삼고 그것을 이루기 위해 살아가는 사람은 그리 많지 않을 것이다. 봉사라는 것이 체득이 되지 않는 이상 단발성에 그치기 쉽고, 그 안에 진실함이 담기기 어렵기 때문이다. 그런 점에서 볼 때 북한평화방문조직위원회 리훈 위원장은 말 그대로 봉사가 체득이 된 인물이라고 할 수 있다. 체계적이고 집약적인 봉사활동만 쳐도 어느덧 50년 세월이 흘렀으니 말이다.
 
There may be very few people who regard service and peace as subject of life and live to achieve it. If meaning of service is not perfectly learned, the service will be transient and can't contain integrity. Considering these, Hoon, Lee, the president of Organizing Committee of Peaceful Visit to North Korea can be called a person who learned the true meaning of service. He conducted systematic and intensive service activities for more than 50 years.

전남 광주가 고향인 그는 어려서부터 베풂과 더불어 사는 것의 아름다움을 몸소 실천해온 집안 어르신들의 모습을 보면서 자연스레 봉사하는 삶을 체득하게 된다. 그래서인지 그에게 봉사는 당연한 것이었으며, 평화는 함께 이뤄가야 할 삶의 목표였다.
 
He was born in Gwangju in Jeonam. Since his childhood, he naturally leaned the life to service as he saw elders of family practise the beauty of living together. Therefore, service is natural to him and peace is the goal of life to be achieved along with.
 
청년이 된 뒤로 1965년 BBS청소년야학 선생, 1968년에는 SCI(국제시민봉사회 한국위원회) 학생회장을 맡아 무등산 춘설헌 다원과 제주 5·16도로 건설을 위해 활발한 봉사활동을 펼쳤다. 1973년에는 UNESCO한국위원회 추천으로 ‘제1차 아스팍 청소년개발세미나’ 한국대표로 참석했으며, 1980년 SCI한국위원회 회장을 맡으면서부터는 양로원·고아원·농촌봉사 등에 전념하면서 한국 사회의 낙후된 지역과 곤경에 처한 사람들에게 실질적인 봉사활동을 펼치기 시작했다. 이후 남북경제교류협력위원장을 맡아 남북을 왕래하며 금강산 온정리마을 보건소와 병원을 리모델링해 남한의 치과의사들이 직접 진료할 수 있는 계기를 만들기도 했다.
 
When he was young, he was a teacher of BBS night school in 1965, a student president of SCI Korean Branch in 1968 to serve actively in Chunseilwon tea garden in Mudeungsan Mountain and in construction site of 5.16 Road in Jeju-do. With recommendation of Korea committee of UNESCO, he attended ‘the 1st ASPAC Youth Development Semina’ as a representative of South Korea in 1973. Since he became a president of SCI Korea Branch, he started practical service activities for the backward regions of South Korea and people in troubles with concentrating his efforts on services for nursing homes, orphanages and farming villages. After then, he became a president of Inter-Korea Economic Exchange Corporation Committee to make an opportunity for dentists of South Korea to treat directly with remodeling health centers and hospitals in Onjungri village while he came and went to South Korea and North Korea.
 
 
평생의 화두 ‘통일 그리고 평화’
Subject of Life 'Unification and Peace'

리 위원장이 일곱 살 때 6·25전쟁이 터졌다. 동족끼리 서로 죽이고 죽여야 하는 상황 속에서 잔인한 장면을 많이 목격한 그는 큰 충격을 받았다. 피를 나눈 형제끼리 서로에게 총부리를 겨눠야 하는 참혹한 현실 앞에서 그는 다짐했다. 조국의 통일과 지구촌 평화를 위해 할 수만 있다면 무엇이든지 다 하겠노라는 마음의 다짐은 ‘금강산’과 함께하는 한반도 평화통일 프로세스로 나타났다. 그만큼 한반도 통일과 지구촌 평화는 그에게 있어 평생의 화두가 됐다.
 
When he was seven, the Korean War happened. While the same people killed each other, he saw many cruel scenes and was very shocked. Experiencing the horrible reality brothers killed each other, he decided. His decision to do anything for unification of homeland and world peace was realized in the Peaceful Unification Process of Korean Peninsula with 'Mt. Geumgang'. The unification of Korean Peninsula and world peace became his subject of life.
 
10대 때부터 자유와 인간의 존엄성에 대해 깊이 고민했다는 그는 중학교 2학년 때 故 케네디 대통령에게 분단된 한반도의 현실과 한국의 민주주의를 위해 도와달라는 내용의 편지를 써 백악관 공보관으로부터 답장을 받기도 했다. 평화를 위해 할 수 있는 일이 있다면 무엇이든 하겠다는 그의 다짐은 그렇게 한단계, 한 단계 순서를 밟아가고 있었다.
 
He agonized about the freedom and human dignity since his teens. Once he sent the late President Kennedy a letter to ask help for reality of divided Korean Peninsula and democracy of Korea and he received a reply from a communication director of the White House. His decision to do anything for peace progressed.
 
대학시절 군사독재에 심한 염증을 느꼈다는 그는 지방대학과 중앙대학, 고려대학교·대학원에서 10여년이 넘도록 한 학기도 쉬지 않고 교육학, 심리학, 철학, 윤리학, 정치학, 인류학 등을 섭렵하며 면학에 정진했다.
 
While in university, he was very disgusted with military dictatorship. He studied pedagogy, psychology, philosophy, ethics, politics and
anthropology for more than 10 years in a local university, Chungang University, Korea University and Korea graduate school without taking a leave of absence.

“비싼 학비를 주고 공부하는 만큼 200자 원고지 1만장을 쓰고 대학 캠퍼스를 떠나야 한다고 마음먹었어요. 할 수 있는 한 많이 배우고 익히려고 애썼죠.”절대 시간을 허투루 보내는 일이 없었다. 시간이 금이라는 말처럼, 하루 24시간을 어떻게 보내느냐에 따라 본인은 물론 사회를 변화시킬 수 있다고 생각한 그는 외려 하루 24시간이 부족했다.
 
"I decided I had to use 10 thousands piece of paper before leaving the campus because I paid lots of money as tuition fees. I tried to study as much as I can." He never wasted his time. Like a proverb, time is gold, he thought he could change the society as well as himself depending on how January he used 24 hours. 24 hours was not enough for him to study.

그는 배우고 깨우친 것이 있다면 더욱 많은 이들과 공유하려 애썼다. 대학 재학시절에는 계간지 <한마음>과 영자신문 <크로니클> 등을 발행했으며, 한국일보, 동아일보, 민주신문, 지역신문 등에서 논설위원, 수석논설위원 및 사장 등을 역임한 것도 그런 맥락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는다. 무엇보다 자유기고가로서 홍익인간 정신과 청소년 교육과 문화, 광화문 칼럼과 신문로 칼럼, 홍익인간 칼럼 등을 쓰면서 건강과 봉사, 평화에 대한 저서 20여 권을 출판하는 등 지금까지도 활발한 저작 활동을 펼치고 있다.
 
He tried to share what he learned. While in university, he issued <Hanmaum>, a quarterly magazine, and <Chronicle>, English newspaper. Also, this was why he was a editorial writer, a chief editorial writer and a president of the Hankook Ilbo, the Dong-A Ilbo, the Minju Ilbo and a local newspaper company. Frist of all, he actively performed writing activities as writing about the humanitarian ideal and education and culture of teenagers on the gwanghwamun column, the sinmunro column and the hongikingan column as a freelance writer and issuing almost 20 books about health, service and peace.
 
 
05.jpg
왼쪽부터 리훈 박사가 번역 출간한 <평화의 성체>. 평생을 봉사로 일관한 피에르 세레솔의 생애를 담아냈다. 리훈 박사가 저술한 <한반도 평화통일 프로세스>, <평화통일과 금강산>. 이 책은 금강산과 관련된 평화포럼부터 금강산 주변경관, 문화유적, 유래, 남북기본합의서 및 북한의 각종 자료까지 사진과 함께 설명하고 있다.
 
 
 
※ 본 작품은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고 있습니다. 무단 사용 시 법적 처벌을 받을 수 있습니다.
06.jpg
해금(海金) 배정화 선생 작품 <금강산 만물상 만추 황금화>. 리훈 박사는 금강산 황금화 작품 제작을 위해 23여 년 간 노력을 기울여왔다.
 
 
금강산 황금화 작업
Golden Pictures of Mt. Geumgang Project

1990년 초 리훈 위원장은 금강산 황금화 제작에 들어가게 된다. 개인적으로 어려웠던 시기였지만 금강산 금화 작업을 위해 일본, 중국, 금강산을 오가기 시작했다. 금강산의 진면목을 화폭에 담기 위해 지금은 고인이 된 중국의 저명작가 리영(李穎) 화백과 50여 회를 오간 끝에 드디어 금강산 금화작품을 완성할 수 있었다.
 
In the early 1990, the president Hoon,Lee started the production of golden pictures of Mt. Geumgang. That was a difficult period to him but he went to China and Mt. Geumgang for the production of golden pictures of Mt. Geumgang. After he visited Mt. Geumgang more than 50 times for painting true character of Mt. Geumgang with the famous Chinese painter, Young,Lee, who is the deceased now, the golden pictures of Mt. Geumgang is completed.

“금강산 금화작업을 위해 동·서양화에 능하고 금을 잘 다루는 화가를 선정하는 일이 쉽지 않았어요. 지성이면 감천이라고 중국의 리영 화백을 만나 작품을 완성할 수 있었고 서울에서 7회, 북한 금강산 온정리에서 1회 등 금강산 황금화 전시회를 성공적으로 마칠 수 있었어요.”
 
“It was not easy to select a painter who was good at Oriental painting and Western painting as well as dealing with gold very well for a golden pictures of Mt. Geumgang. Sincerity moves heaven. We can meet a Chinese painter, Young,Lee and finish the works. We successfully held exhibitions of golden pictures of Mt. Geumgang seven times in Seoul and one time Onjungri."

오랜 시간 금강산 황금화 작업을 같이 해 온 리영 화백은 비록 고인이 됐지만 그가 남긴 작품은 <평화통일과 금강산>이라는 책으로 출판돼 금강산을 그리는 한민족에게 큰 위로가 되고 있다. 지금은 해금(海金) 배정화 화백이 금강산 황금화 작업을 이어가고 있다.
 
Thouh the painter, Young,Lee who worked together for a long time for golden pictures of Mt. Geumgang died, his works were contained in a book, <Peaceful Unification and Mt. Geumgang> which was published. It became a great consolation to Korean people. Now a painter, Haegum Junghwa, Bae continues the project, golden pictures of Mt. Geumgang.
 
“금강산을 금으로 그리는 일을 지금까지 23년 동안 해오고 있어요. 최근에 배정화 화백의 전시가 성공적으로 잘 끝나 더없이 기뻤어요. 제가 하는 일들이 한반도 평화통일에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길 바라는 마음으로 앞만 보고 달려오다 보니 좋은 사람들을 만나게 되는 것 같아요.”
 
“I have performed drawing Mt. Geumgang with gold for 23 years. I'm very happy the exhibition of the painter, Junghwa, Bae is successfully completed. I think I can meet good people because I tried my best with hope what I do can help the peaceful unification of Korean Peninsula."

23년 동안 금강산 금화작업을 하면서 들어간 비용이 만만치 않다. 전시회를 위한 회의만도 100여 회가 넘는다. 애초에 시간과 비용을 생각했다면 금강산 금화 작업은 시작도 못했을 것이다. 이제 그는 올 봄 워싱턴을 시작으로 금강산 금화작품 해외 전시에 나설 계획이다. 전시회는 세계인들에게 금강산을 홍보하는 계기가 될 것이며, 한반도 통일의 중요성을 역설하는 자리가 될 것이다. 세계평화를 이루기 위해 무엇보다 먼저 지구촌 유일의 분단국인 한반도가 통일돼야 함을 세계인들에게 인식시키는 작업인 셈이다.
 
The amount of cost for golden pictures of Mt. Geumgang project for 23 years is a lot. There were more than 100 meeting for exhibitions. If time and cost is considered from the beginning, the golden pictures of Mt. Geumgang project can't begin. He plans overseas exhibitions of golden pictures of Mt. Geumgang, staring in Washington in this spring. The exhibitions will be opportunities to promote Mt. Geumgang to the world and emphasize the importance of unification of Korean Peninsula. This work is to make the world appreciate Korea, the only one divided nation in the world, must be unified first of all for world peace.
 
 
금강산에 평화의 금자탑 세우자
Build the monumental work of peace on Mt. Geumgang

민족분단 50여년 만에 금강산 길이 열렸다. 지금은 비록 그 길이 잠시 닫혀있지만 금강산 관광길이 열리면서 개성 또한 열릴 수 있었다. 리훈 위원장은 “이제는 금강산 길을 다시 여는 것뿐 아니라 백두산과 평양이 함께 열릴 수 있도록 금강산을 매개로 한 ‘한반도평화통일프로세스’를 다시 세워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인다.
 
After 50 years from division of our people, a path to Gemgangsan Mountain opens. Thouh the path to Gemgangsan Mountain was closed for a while, a path to Gaeseong can open as the path for the Gemgangsan tour opens. The president Hoon,Lee emphasized, "Now we have to re-build the Peaceful Unification Process of Korean Peninsula with Gemgangsan Mountain to open a path Baekdusan Mountain and Pyongyang as well as the path to Gemgangsan Mountain."

이를 위해 리 위원장은 2001년 금강산사랑운동 공동대표를 역임하면서 남북 상생을 위한 기자회견을 수차례 진행했으며, 2003년부터는 금강산세계청년 평화캠프올림픽 조직위원장을 맡아 캠프장 설치 추진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2004년에는 일본 금강산 평화방문단 400여 명을 초청해 금강산에 기념식수를 하기도 했다.
 
The president Lee had several press interviews for coexistence of South Korea and North Korea while he was a joint representative of Love Movement of Gemgangsan Mountain in 2001. Since 2003, he tried to construct a campground as a president of Committee of Mt. Geumgang World Youth Peace Camp Olympic. He invited about 4 Hundred persons of Gemgangsan Mountain Peace Visitors and performed a commemoration planting on Gemgangsan Mountain.
 
 
평화를 사랑하는 민족,
세계평화의 중심이 되자
People Loving Peace,
Let's Become a Center of World Peace.
 
“역사를 거슬러 올라가보면 우리 민족은 타민족과 달리 유독 온유할 뿐 아니라 순박해서 남을 해치기에 앞서 남을 널리 이롭게 하자는 마음을 가졌다고 할 수 있어요. 그리고 그 마음이 지속되어 오늘에 이르렀지요. 다시 말해 평화를 사랑하는 유일한 민족이기에 건국이념 또한 사람을 널리 이롭게 한다는 ‘홍익인간(弘益人間)’을 표방한 것이죠.”
 
“When we review our history, our people was gentle and simple. They tried to help others rather than harm them. And, this nature lasts until today. In other words, our people is the only people to love peace so their founding principle of a nation is humanitarianism of which meaning is to help people widely."

그의 말에 따르면 ‘홍익인간’에는 남을 인정하고 남을 위해 봉사한다는 대명제가 함축돼 있으며, 나아가 우주에 있어 자신이 주체인 것처럼 타인도 주체가 돼야 한다는 평화정신이 농축돼 있다. 우리 민족이 평화의 유전자를 가진 민족이자 평화를 이루는 주체가 될 수밖에 없는 이유가 여기에 있는 것인지도 모른다.
 
According to him, in humanitarianism, great proposition to admit others and serve for others is implied and the spirit of peace that others shall be subjects as oneself is a subject in the universe is also concentrated. Maybe this is why our people with gene of peace must be a subject to complete peace.

“금강산은 민족의 영산이면서도 세계적으로도 빼어난 아름다움을 자랑하는 명산으로 꼽힙니다. 남북 간 정치적 상황이 유연해져 교류가 활발해질 경우 금강산에 많은 관광객이 몰려들 것은 자명한 사실이죠. 그렇기에 지난 10년간의 금강산관광을 바탕으로 새로운 관광사업 인프라를 구축하고 관광 진흥이라는 관점에서 ‘세계청년평화캠프장’ 설치를 추진해 국제관광특구로써 평화관광사업으로 나가는 것이 필요하다고 봐요.”
 
“Mt. Geumgang is regarded as a very beautiful mountain in the world as well as a mystical mountain of our people. If exchange becomes active as political surroundings gets favorable, it is clear many tourists will visit Mt. Geumgang. Therefore, I think it is necessary to construct new infrastructure for tourism based on the Mt. Geumgang tour for the past 10 years, and construct ‘World Youth Peace Olympic Camp’ from the perspective of tourism promotion to advance to the peace tour business as international special tourist zone."

그는 한반도는 평화의 땅이며, 우리 민족은 평화를 사랑하는 민족으로서 그 찬란한 맥을 이어왔지만 지금은 지구촌 유일의 분단국으로 정반대의 입장에 있다고 말한다. 그렇기에 더더욱 우리가 중심이 되어 한반도 통일과 세계평화를 이끌어야 한다고 주장이다. 이를 위해 그가 제시한 방법이 바로 금강산에 ‘세계청년평화캠프장’을 설치해 평화를 사랑하는 민족의 역량을 발휘하자는 것이다.
 
He said the Korean Peninsula was a land of peace and our people succeeded that great tradition as people loving peace but, at this period, we were at the completely opposite side as only one divided country in the world. His opinion is that's why we have to be a center for unification of Korean Peninsula and world peace He suggested to construct ‘World Youth Peace Olympic Camp’ on Mt. Geumgang to demonstrate the ability as people loving peace.
 
“금강산관광의 목적이 한반도의 평화통일을 앞당길 뿐 아니라 위기에 처한 지구촌에 새로운 평화정신을 회복시켜주는 계기가 됐으면 좋겠어요. 이른바 ‘21세기 평화의 르네상스 운동’으로 발전시켜 자라나는 청소년뿐 아니라 인류에게 진정한 평화정신을 확산시키자는 것이죠. 이것이 금강산에 ‘세계청년평화캠프장’을 설치하려는 이유입니다.”
 
“I hope the purpose of Mt. Geumgang tour becomes an opportunity to recover the spirit of peace in the world which is in danger as well as promotes the peaceful unification of Korean Peninsula. I mean to develop it into so-called 'the 21st century Renaissance Movement of Peace' to spread the true peace spirit to mankind as well as to the growing youth. This is why we try to construct ‘World Youth Peace Olympic Camp’ on Mt. Geumgang."

리훈 위원장은 동서양의 보편적 가치인 ‘사랑·봉사·평화’ 정신이 금강산세계청년평화캠프장에서 세계 청년 1만 2000명이 모인 가운데 전 세계에 울려 퍼진다면 우리 모두가 바라는 평화통일의 결정적 계기가 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The president Hoon,Lee expected it will be a critical chance of peaceful unification we all want if spirit of 'love, service and peace', universal value of the East and the West, is known to the world in the‘World Youth Peace Olympic Camp’ on Mt. Geumgang in which 12,000 young people from all over the world will gather.

“지구촌 마지막 분단국에서 인간 정서의 핵심인 사랑·봉사·평화정신 등을 확산시켜 한반도 분단 극복과 위기에 처한 지구촌 평화운동에 앞장섰으면 해요. 캠프 구성원은 청년평화캠프의 특징을 살리고 금강산 1만 2000봉을 상징화해 1만 2000명으로 하고 구체적 프로그램으로 DMZ·설악산·금강산을 연계하는 지구촌 대평화축제를 만드는 것이죠.”
 
“I hope to lead unification of Korea and world peace movement with spreading spirit of love, service and peace, the core of human emotion. We determined the number of camp members is 12,000 to reflect the characters of camp and to symbolize the 12,000 peaks in Mt. Geumgang. We will make a great glabal peace festival with a detailed program to ccombine DMZ, Mt. Seoraksan and Mt. Geumgang."
 
금강산 1만 2000봉에 담긴 뜻. 그것은 어쩌면 평화를 염원하는 인류의 목소리가 형상화된 것인지도 모른다. 금강산세계청년평화CAMP Olympic조직위원회 리훈 위원장은 말한다. 평화를 위해 활발한 활동을 펼치는 개인이나 단체, 종교단체들이 있다면 그들과 연대해 하루 속히 한반도 통일과 세계평화를 이루고 싶다고. 위기에 처한 지구촌의 안녕과 인류 평화를 위해 적극적으로 함께 뛰고 싶다고 말이다.
 
The meaning of 12,000 peaks in Mt. Geumgang. Maybe it is a projection of the voice of mankind to wish peace.
 
Hoon,Lee, the president of ‘Orgianizing Committee of Geumgang Mountain World Youth Peace Olympic Camp’, says he wants to achieve unification of Korean Peninsula and world peace as soon as possible and try for safe and peace of world in danger with banding together with a person, a organization and religious group which performs vigorous activities for peace.
 
 
 
본 작품은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고 있습니다. 무단 사용 시 법적 처벌을 받을 수 있습니다.
08_484.jpg
삼선암 금화(金畫) (중국의 저명작가 故 리영 작품, 1998) 금강산의 아름다움을 순금으로 표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