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마루 | GEULMARU

로그인 회원가입 즐겨찾기추가하기 시작페이지로
글마루 로고


 

최첨단 토목기술로 건설된

세계문화유산 고인돌


글, 사진. 이명우 운룡도서관・운룡역사문화포럼 이사장


01.jpg
석붕산 고인돌
 

한국 사람들이 이집트에 관광을 많이 간다. 그곳에서 2500년 전 건축된 쿠푸왕의 대피라미드(높이 14 , 가로/세로 230 )를 보면 어머어마한 규모에 입이 딱 벌어지고 놀라게 된다. 그리고 크기를 압도하는 신전들을 보면 이집트의 거석문화가 세계 제일이라고 자연스럽게 생각된다.

4만 년 전부터 인류의 조상들은 동물에서 진화돼 의식세계를 갖게 됨으로써 자연이 만든 대지와 모든 만물을 경외심을 갖고 보기 시작했다. 특히 자연이 만든 사람과 닮은 거대한 바위라든가 인간이 만들 수 없는 거대하게 솟은 바위들을 보면서 처음에는 자연 그대로의 바위들을 신앙의 대상으로 경배했다.

원시부족사회 형성으로 자손의 번창과 마을의 무사태평을 기원하면서 숭배의 대상이 된 남근석(男根石)과 마을 어귀를 지키는 수호신으로서의 입석(立石) 또는 돌장승 등이 탄생하게 됐다. 이러한 남근석과 입석 또는 돌장승이 문명의 태동과 함께 거대한 석조문화로 발전하기 시작했다.

우리나라 삼국시대 이전의 석조문화는 고인돌(Dolmen)이 형성되기 시작한 고조선의 청동기시대에 가장 먼저 시작됐을 것이다. 청동기문화를 공유하게 된 신석기시대 중반에 들어와 주거 집단의 우두머리 또는 영향력 있는 종교지도자가 죽었을 때 정치와 종교적 측면에서 주검을 땅에 묻고 고인의 내세 영생(永生)과 남은 사람들의 안녕을 지켜줄 것을 기원하는 매장 의식을 갖게 됐다. 이러한 매장 의식은 점차 부족사회의 권력에 의해 권력자의 주검을 안전하게 보전하고 경배의 대상이 되게끔 하기 위해 흙에 매장하는 것에서 발전해 돌을 사용해 기원전 5000년 전부터 거대한 돌무덤이나 피라미드를 만들게 됐다.
   


02.jpg
강화 고인돌
 
03.jpg
좌)고인돌을 운반하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우) 강원도 춘천 중도 선사유적지의 주거지 모습
 


동북아시아의 고대 민족인 동이족(東夷族)들도 돌을 사용해 인간의 주검을 보호하는 장례문화가 이어져왔다. 동이족들은 시신을 매장할 때 아시아의 다른 민족과 달리 주로 돌을 갖고 무덤을 축조했는데 이것이 돌무덤(石墓)이다. 돌무지무덤(적석총) 등 여러 종류의 돌무덤 중에서 대표적인 것이 고인돌무덤(지석묘)이다.

1998년 10월 고창군에서 열린 고인돌 축제에서 KBS 역사스페셜팀이 전문가의 고증을 토대로 고인돌의 축조과정을 재연했다. 커다란 평평한 덮개돌을 골라 크기를 재어 무게로 환산하니 약 9800㎏(9.8톤)이나 되었다. 이 돌을 고대의 전통적 운송방식으로 바닥에 통나무를 여러 개 깔고 돌을 그 위에 올려놓고 밧줄로 묶어서 85명의 장정이 인력으로 끌어서 70 의 행사장으로 옮기는 데 무려 4시간이 걸렸다. 고인돌은 크고 거대한 판돌로 덮개석의 받침대로 사용했기 때문에 구조물의 균형이 잘 맞지 않으면 무너지게 되므로 간단히 주먹구구식으로 축조할 수 없다.

돌방의 긴 두 벽을 이루는 받침돌은 무거운 덮개돌을 지탱하고 균형을 잡도록 구덩이도 깊게 팠으며 덮개돌이 전체 구조물의 무게중심에 있도록 위치를 정확하게 잡고 올려놓았다.

고인돌 축조 공사는 현대의 토목·건축기술로 보아 정교한 구조 설계와 역학적 지식을 갖고 있어야 가능한 대규모 토목 공사이다. 고창 운곡리에 있는 고인돌은 높이 4 에 무게가 297톤이나 되는 세계 최대의 고인돌이다. KBS에서 실험한 바에 근거하면 297톤의 고인돌 상판을 움직이려면 약 3000명 이상의 인력이 끌어당겨야 한다. 이뿐만 아니라 고인돌을 축조한 고조선의 토목건설 기술자들은 당시로서는 세계에서 최고의 토목건설 기술을 보유했다. 수십 톤에서 300톤에 가까운 거석을 2개의 작은 판석 위에 올려놓아 쓰러지지 않게하는 것은 사전에 고인돌의 무게중심이 어디에 있다는 것을 파악해야 가능한 일이다. 상판고인돌을 운반하기 위해 쌓아놓은 흙더미 위로 끌고 올라와서 고인돌을 놓는 위치를 정확하게 잡아야 한다.

만약 쌓아 놓은 흙더미를 다 치우고 난 후에 고인돌의 무게 균형이 안 맞으면 2 정도 솟아있는 판석이 균형을 잃고 무너지게 된다. 고조선인들이 고도로 발전된 토목 및 석조 건축 기술을 갖고 있었음이 3000년이 지난 지금도 온전히 남아있는 많은 지역의 거대한 고인돌이 증명하고 있다. 이집트의 피라미드가 크고 웅장하다고 해도 토목 및 석조 건축 기술면에서 보면 고도의 기술을 요구하는 것이 아니다. 단지 2톤 정도의 사각형 판석을 무너지지 않게 넓게 그리고 삼각형으로 좁혀가며 차곡차곡 쌓는 것으로써 많은 노동력을 필요로 하는 일반 석축 쌓는 공사와 같다.


04.jpg
고창 남방식 고인돌
 


우리나라 고인돌이 북한의 황해도 은율과 평양 등 대동강 유역에 1만 4000여기가 있고, 전남 화순과 고흥 및 강화도에 2만 4000여기가 있다. 특히 전북 고창 선운사 부근에는 2000여기가 밀집돼 있고 고인돌 공원과 박물관이 있다. 남・북한의 수몰지역 및 이전된 것을 합하면 전국에 약 5만기가 있는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전 세계에 산재돼 있는 고인돌의 수가 약 8만기로 추정되는데 거석 유물이 많다는 아일랜드조차 고인돌이 1500기에 지나지 않는다. 우리나라의 고인돌은 그 숫자 면에서 세계 제일이고 전 세계적으로 볼 때 우리나라가 거석문화의 중심지였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고창·화순·강화도의 고인돌 지역이 모두 2000년 12월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됐다. 첨단 과학기술로 건축된 우리나라의 고인돌 유적은 우리들이 소중히 보전해야 할 우리 민족의 자랑스러운 거석문화이다.



05.jpg
강원도 춘천 중도 선사유적지 돌무지무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