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마루 | GEULMARU

로그인 회원가입 즐겨찾기추가하기 시작페이지로
글마루 로고


 

월호_서브title.jpg
 
월호_서브title.jpg
 
어리석음을 깨우치는 스승, 예를 다하는 제자
‘왕이여 참된 길을 가소서’
5월은 푸르다. 하늘도 푸르고 강물도 푸른 계절. 이 계절이 더욱 아름다운 것은 가족 간에 사제 간에 서로를
향한 감사와 사랑의 마음을 전하는 시간들이 있기 때문인지도 모른다. 낳으시고 기르신 부모님의 은혜를
감히 그 무엇과 견줄 수 있을까마는 스승의 은혜 또한 어버이의 그것 못지않다.
- 글 박혜옥 사진제공 고려대학박물관
 
main.jpg
 
스승의 날이 가정의 달인 5월에 포함된 이유가 궁금했던 적은 없는가. 이유는 간단하다. 스승 또한 ‘어버이’이시기 때문이다. 해마다 스승의 날이 되면 어김없이 불렀던 ‘스승의 은혜’에도 “스승은 마음의 어버이시다”라는 노랫말이 있듯이 말이다. 물론 아직까지도 ‘스승은 마음의 어버이’인지 ‘스승
의 마음은 어버이’인지 헷갈릴 때가 있지만, 좋은 스승은 제2의 부모라는 사실만은 확고하다. 스승의 그림자도 밟지 않았다는 과거와는 다르게 교권과 아이들의 인권 사이에서 불미스러운 일이 끊이지 않는 작금의 시대에, 교권은 어쩌면 빛 좋은 개살구일 수도 있다. 선생의 자격을 운운하기도 하
지만, 음지가 있으면 양지가 있듯 스승 또한 빛과 그림자가있을 뿐이다.

조선시대 최고의 자리에 있었던 임금도 스승 앞에서는 예(禮)를 다했다. 자신의 손에 백성과 나라의 운명이 달려있기에 옳고 그름을 분별할 수 있도록 누군가의 조언과 간언이 필요했다. 정도의 길을 갈 수 있도록 가르쳐주는 참다운 스승, 목에 칼이 들어올지라도 간언을 하고야 마는 충직한 신
하. 그중 왕세자로 있을 때 처음으로 만나는 스승은 평생의은인이자 스승으로 남기도 한다.

왕의 스승, 國師

윗물이 맑아야 아랫물이 맑다는 말이 있다. 당연한 이치다. 나라 또한 마찬가지다. 어지러운 세상을 바로잡아 태평성대를 이끄는 것도 임금이 바로서야 가능하다. 임금이 자신의 도(道)를 알지 못하고 좌로나 우로 치우치거나 우유부단하면 대사(大事)를 그르칠 수 있다. 그렇기에 임금에게도 옳고 그름을 분별할 수 있도록 돕는 스승 즉 국사(國師)가 필요하다. 왕이 지도자로서의 덕성과 자질을 갖출 수 있도록 돕는 자리이자, 스승이며 동시에 신하의 자리에 있어야 하는 국사의 위치가 절대 편한 자리는 아니었을 것이다.

<서경(書經)>에는 “먼저 왕을 바로잡고서 이 일을 바로잡겠다”하였고, 맹자는 “오직 대인(大人)이라야 임금의 그릇된 마음을 바로잡을 수 있다”하였으니, 진실로 임금의 마음이 바르지 못하면 비록 일마다 고치고 사람마다 버리더라도 장차 그 고치고 버리는 문제를 해결하지 못할 것입니다. 근자에 전하께서 언어(言語)로 표현하시는 것과 정사(政事)에 실시하시는 것을 보면, 모두가 다 지극히 바르고 공명한 가운데에서 나온 것이라고 볼 수 없으니, 어찌 전하의 마음속에 사정(私情)에 치우치는 것이 있음을 면치 못하여서 그런 것이 아니겠습니까. 한번 두어 가지 일을 들어 말씀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석간(碩幹)의 반좌죄(反坐罪)는 온 나라 사람이 다 죽여야 한다고 하였으나 전하께서 윤허하지 않으시니, 이것은 전하의 마음이 고변(告變)하는 길이 혹 막힐까 염려하는 데에 지나치게 묶여 있기 때문입니다. 또 내노(內奴)를 서쪽으로 보내야 한다는 요청은 온 나라의 공공(公共)한 논의인데도 전하께서 윤허하지 않으시니, 이는 전하의 마음이 내수사(內需司)의 사유물(私有物)에 치우치게 묶여 있기 때문입니다. 성상께서 스스로 현명하다고 여겨 대간(臺諫)의 말을 소홀히 여기는 점이 있는 것은 교만에 치우친 전하의 마음이며, 주의(注擬)할 즈음에 아끼고 미워하는 흔적을 드러내는 것은 전하의 호오(好惡)에 치우친 마음입니다. 임금이 이 중에 하나만 있어도 오히려 난리를 초래하고 망하는 길로 가게될 것인데, 더구나 전하께서는 겸하고 계시니 어떻다 하겠습니까. 이제부터라도 본원(本源)을 밝히는 일에 공력을 쏟으시고 사정(私情)에 치우치는 것을 근절시키는 일에 힘쓰시면서, 묻기를 좋아하면 여유가 있다는 사실을 인식하시고 스스로 지혜를 쓰면 작아진다는 말을 경계하셔서 더욱 유념하소서. 아, 신이 대인(大人)의 덕도 없으면서 임금의 그릇된 마음을 바로잡는 일을 본받고자 하니, 신의 어리석고 망녕됨을 여기에서 알 수 있습니다. 신의 관직을 파척하도록 명하소서.(<동계집3권 보유(補遺)>, 한국고전번역원, 조동영 역, 2000)

동계(桐溪) 정온(鄭蘊, 1569(선조2)∼1641(인조19))이 대사헌으로 있을 때인 계유년(1633, 인조11)에 임금에게 올린 계사(啓事, 임금에게 사실을 적어 올리던 서면)의 내용이다. 자신의 목이 달아날 수 있다는 것을 알면서도 임금에게 간언할 수 있다는 것은 임금을 사랑함이요, 또한 백성을 사랑하는 마음이 있기에 가능한 것이다.

율곡 이이 선생은 그의 나이 40세에 완성한 <성학집요> 서문에서 선조를 향해 “남을 이기기 좋아하는 사사로운 마음때문에 바른 말을 하는 이들을 등용하지 못한다”고 꼬집으며 왕의 장점과 단점을 고대의 제왕들에 견주어 조목조목 열거하고 대의를 세우고 성현이 될 것을 천명하도록 촉구하기
도 했다.

샛길로 가고 있는 임금이 정도(正道)의 길로 돌아오기를 바라는 마음, 비록 신하의 자리에 있으나 그 마음은 어버이요 스승과 같다고 할 수 있다.
 
img1.jpg
 
▲왕세자입학도첩 5 입학도(入學圖) 예물을 드린 후 왕세자가 명륜당에서 박사에게 교육받는 장면. 34.1×46.5cm, 「왕세자입학도첩(王世子入
學圖帖)」, (고려대학교박물관 소장)
 
 
배움 앞에서는 겸손으로

세종 대 이후로 왕세자나 왕세손으로 책봉된 사람들은 성균관에서 입학식을 거행했다.
<왕세자의 입학식(문학동네)>을 집필한 김문식 박사는 “왕세자란 장차 천하를 다스리게 될 국왕의 후계자로서 국왕을제외하면 가장 높은 지위에 있는 높고도 귀한 존재였다”며 “조선의 왕세자는 훌륭한 국왕이 되기 위해 책봉례(冊封禮),관례(冠禮), 가례(嘉禮), 성균관 입학례(入學禮) 같은 수많은통과의례를 거쳐야 했다”고 전했다.

1421년(세종3) 10월 27일 세종은 경복궁 인정전에서 원자 이향(훗날 문종)을 왕세자로 책봉하고 그의 나이가 여덟 살이므로 같은 해 12월 25일 성균관에서 입학례를 거행했다. 왕세자의 스승은 성균관 사성(司成)으로 있던 탁신(卓愼)이었다. 훗날 탁신이 사망하자 왕세자는 스승의 죽음을 애도하며 제문을 지었다. 스승으로서 자신에게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지를 알 수 있는 대목이다.

“고인께서는 마음가짐이 곧고 미더웠으며 처신하는 것이 겸손하고 공손했습니다. 덕망은 재상의 지위에 합당했고 학문은 유학의 우두머리였습니다. 내가 입학하여 처음으로 공을스승으로 했는데 강의하는 것이 적절했고 의리를 철저히 연구했습니다. 내가 표현하지 못하는 것을 계발시키고 나의 어리석음을 열어주었으며 간절한 가르침은 처음부터 끝까지 학문에 힘쓰게 했습니다…(후략)”

훗날 국왕이 될 존재이기에 더욱 이치를 깨우치고, 지혜와 지식을 겸비할 수 있도록 돕는 것이 바로 스승의 역할이었다. 이심전심이라 했던가. 나라의 태평성대를 바라며 진실함으로 왕세자에게 가르침을 준 스승은 평생의 은인으로 남는다. 훗날 단종이 된 세종의 원손 이홍위 또한 국왕으로 즉위한 이후 스승에게 특별히 자신의 옷 한 벌을 하사했다. ‘스승을 높이고 예우하는 것이 제왕의 높은 다스림이라’는 대사헌 권준의 건의를 받아들였기 때문이다.

또한 왕세자는 입학식을 거행할 때에 박사(博士)라고 불리는 스승에게 먼저 가르침을 청한 다음 스승의 허락을 받은 후 건물 안으로 들어가 예물을 바쳤으며, 강의 시간에는 몸을 낮추어 가르침을 들어야 했다. 책상도 없이 바닥에 엎드려 책을 읽었으니 이는 <국조오례의>의 규정이었다. 가르침
을 받는 자로서의 예(禮)였다. 배움 앞에 겸손한 마음이 학생의 도리요, 사람의 도리를 다하며 지혜와 지식을 겸비할 수 있도록 자신의 모든 것을 내어주는 것이 참다운 스승의 도리였다.
 
 
img2.jpg
 
 
▲ 왕세자입학도첩 4 수폐도(脩幣圖) 박사에게 예물을 드리는 장면. 34.1×46.5cm, 「왕세자입학도첩(王世子入學圖帖)」, (고려대학교박물관 소장)
 
살신성인의 정신

참다운 스승은 제자를 위해, 후대를 위해 자신의 생명을 기꺼이 내놓기까지 한다. 지난 4월 온 국민을, 대한민국을 울린 ‘세월호’ 사건에서도 우리는 제자들을 먼저 챙겼던 선생님의 소식을 들을 수 있었다. 무섭고 끔찍했던 순간, 살려는 본능보다 제자들을 먼저 살려야 한다는 사명감이 앞섰던 이들, 그것이 바로 스승의 마음이 아닌가 한다.

절체절명의 순간, 제자들을 먼저 챙긴 스승의 마음은 어버이였으며 훗날 그 제자들이 왕처럼, 임금처럼 나라를 먼저 생각하며 정도(正道)의 길을 걷길 바라는 마음이었을 것이다. 우리 모두는 소중한 존재다. 금이야 옥이야 키운 부모가 있고, 참 되길 바라는 스승이 있다. 마치 조선시대 왕들의 스승처럼 말이다. 그렇기에 우리 모두는 또한 왕 같은 사람들이다. 가르치는 자는 왕을 깨우치는 것처럼, 가르침을 받는 자는 왕의 스승을 대하듯 서로에게 예를 다하는 사제지간이 됐으면 하는 바람이다.
 
img3.jpg
img3.jpg
 
img3.jpg
 
 채제공(蔡濟恭, 1720년 ~ 1799년)
조선 후기의 문신, 정치인이다. 영조 후반과 정조대의 남인의 영수로 정조의 최측근 인사 중의 한사람이며, 정약용, 이가환
등의 정치적 후견자였다. 강박과 오광운의 문인이며 사도세자를 가르친 스승이자 세자궁의 측근 신하의 한 사람이었다.
[이 게시물은 글마루님에 의해 2014-05-19 11:57:14 글 등록전 임시게시판에서 이동 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