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마루 | GEULMARU

로그인 회원가입 즐겨찾기추가하기 시작페이지로
글마루 로고


 

가사문학의 꽃 피운
담양 ‘樓亭’누정
그 속엔 선비의
‘氣槪’기개가 있다


글 박선혜 사진 이지영



여름을 나니 초록으로 물들었다. 온통 푸르다 못해 청량감마저 느껴지니 지상낙원이 따로 없다. 이제 곧 있으면 낙엽이 지고 가지에 눈이 쌓이겠지. 그리고 추운 겨울을 이기고 나면 다시 또 새싹이 나고 꽃을 피우겠구나.

그 옛날, 시와 가사로 노래를 읊었던 선비들도 산 중에 정자를 짓고 경치를 바라보면 이런 느낌이었을까. 자연과 마주하니 절로 가사가 읊어지지 않았
으랴.

유난히 창공이 아름다웠던 지난달 초 담양의 주요 누정(누각·정자)을 찾아 자연과 벗한 선비의 발자취를 따라 나섰다.


01.jpg

소쇄원 광풍각

 




담양은 호남문학의 대표적인 지역으로, 우리나라에서 가장 많은 누정(누각·정자)을 보유하고 있다. 그만큼 누정문화가 가장 발달하고 활발했던 곳이 담양이다. 담양의 누정 대부분은 전망이 뛰어난 곳에 자리하고 있어 사계절 각각의 경치가 빼어나다.

의리와 명분을 중시하던 조선시대 사림(士林)들은 불합리하고 모순된 정치 현실을 피해 따뜻한 기후와 풍부한 물산(物産, 생산물·토산물)으로 인심이 넉넉한 호남지방으로 나남했다. 담양에 많은 누정이 있는 것이 이와 관련이 있다.

사림들은 담양에 누정을 건립하고 인재 양성은 물론 시단(詩壇)의 결성과 시회(詩會)를 통해 심금을 울리는 훌륭한 시가문학을 창작했다. 이러한 시문학의 전통은 국문시가의 하나인 ‘가사문학(歌辭文學)’을 탄생시켰다.





02.jpg
소쇄원
 

03.jpg
 


   

당대 누정은 그냥 놀고 즐기는 곳이 아니었다. 사림들은 이곳에서 사상과 철학을 설파하고, 현실 정치를 비판하며 대안을 논했다. 그래서 온돌방을 둔 정자를 짓고 사시사철을 지내며 사상이 담긴 가사문학의 꽃을 피웠다.

특히 담양의 누정문화를 접할수록 다른 집안 선비들과의 인맥이 실타래처럼 엉켜있음을 알 수 있다. 여기에는 정치·문학·사회사가 함축돼 있기도 하다.

자연과 인공 조화가 완벽한 조선 중기 대표 원림 ‘소쇄원’

전남 담양에서도 남쪽에 위치한 소쇄원은 우리나라 조선 중기의 대표적인 정원으로 손꼽히는 곳이다. 서울에서 출발하면 차로 경부고속도로를 달려 천안논산고속도로에서 호남고속도로를 타고 창평 IC를 통과해 가사문학로에서 쉽게 찾을 수 있다.

국가지정문화재 사적 304호인 소쇄원은 ‘맑고 깨끗하다’는 뜻이 담겼다. 이름에서도 알 수 있듯이 입구에서부터 보기만 해도 시원한 대나무숲길이 펼쳐지고, 성큼 들어서니 산수초목(山水草木)으로 푸름이 가득해 공기부터 남다르다.

소쇄원은 정원 전체를 통칭하는 말이다. 원래 12채의 누각과 정자가 있었으나 오랜 시간이 지나고 정원의 규모가 점점 축소되면서 9채가 사라지고 현재 대봉대, 광풍각, 제월당 3채만이 남아있다. 하서 김인후가 1548년에 쓴 <소쇄원 48영>을 통해 소쇄원의 규모를 짐작할 수 있다.




04.jpg
식영정
 



시원하게 쭉쭉 뻗은 나무들 사이로 계곡을 끼고 아름다운 정원이 발길을 멈추게 한다. 긴 담장이 동쪽에 걸쳐 있고, 북쪽의 산사면에서 흘러내린 물이 담장 밑을 통과해 소쇄원의 중심을 관통하니 산수초목이 어찌 어우러지지 않은 곳이라 할 수 있을까.

이곳 소쇄원은 자연과 인공의 조화가 매우 뛰어나다. 그래서일까. 가사 문학의 대가인 송순, 정철, 송시열 등 이름만 들으면 알 만한 조선 중기 많은 문인들이 소쇄원을 자주 드나들었던 것도….

우리나라 전통 정원은 누가 만들었느냐에 따라 궁원과 향원, 민간정원으로 나눌 수 있다. 정원의 성격에 따라 별서정원, 산수정원 등으로도 분류하는데 별서정원은 선비가 낙향을 해 꾸민 정원을 의미하며, 산수정원은 자연을 감상하기 위해 만든 정자를 말한다. 보길도 윤선도의 ‘부용동’과 담양 양산보의 ‘소쇄원’ 등이 대표적인 별서정원이다.

식영정·환벽당·송강정으로 나누고
‘정송강유적’이라 부른다

담양은 광주(전남)와 매우 인접해있다. 소쇄원에서 멀지 않은 곳에 창계천을 사이에 두고 ‘식영정(담양 권역)’과 ‘환벽당(광주 권역)’이 마주하고 있다.





05.jpg
식영정 옆의 거목
 




식영정은 환벽당, 송강정과 함께 ‘정송강유적’이라고 불린다. 소쇄원, 환벽당과 함께 ‘한 동네에 있는 세 명승’이란 의미의 ‘일동지삼승(一洞之三勝)’에도 속한다. 16세기 중반 김성원이 스승이자 장인인 임억령을 위해 지은 정자이며, 식영정 이름은 임억령이 지었는데 ‘그림자가 쉬고 있는 정자’라는 뜻이다.

김성원은 송강 정철의 처외재당숙이다. 정철보다 나이가 11살이 많았으나, 정철이 이곳 성산에 와 있을 때 환벽당에서 같이 공부하던 동문이다.

당시 사람들은 임억령·김성원·고경명·정철 네 사람을 ‘식영정 사선(四仙)’이라 불렀는데, 이들이 성산의 경치 좋은 20곳을 택해 20수씩 모두 80수의 ‘식영정이십영(息影亭 二十詠)’을 지은 것은 유명한 이야기이다. 이 ‘식영정 이십영’은 후에 정철이 지은 <성산별곡>의 밑바탕이 됐다.

식영정 정자의 규모는 정면 2칸, 측면 2칸이고 단층 팔작지붕이며, 온돌방과 대청이 절반씩 차지한다. 정자의 가운데에 방을 배치하는 일반 정자들과 달리 한쪽 귀퉁이에 방을 두고, 앞면과 옆면을 마루로 깐 것이 특징이다. 자연석 기단 위에 두리기둥을 세운 굴도리 5량의 헛집구조를 하고 있다.

식영정 건너편에 있는 환벽당은 광주광역시 북구 광주호 상류 창계천가의 충효동쪽 언덕 위에 있다. 어린시절 정철의 운명을 바꿔 놓게 한 김윤제(1501∼1572년)가 짓고 기거했던 곳이다.

‘푸르름이 고리를 두른다’는 환벽(環璧)이란 이름의 뜻 그대로 환벽당을 둘러 있는 담장 안에 온통 푸름이 가득하다.

환벽당은 호남의 대표적인 누정문화를 보여주는 곳이다. 건물의 규모는 정면 3칸, 측면 2칸의 팔작지붕 목조와가이며, 당호는 신잠이 지었다. 송시열이 쓴 제액(題額)이 걸려 있고, 임억령·조자이의 시가 현판으로 걸려 있다.





06.jpg
환벽당(위)과 송강정(아래)
 

07.jpg
 





김윤제는 1528년 진사가 되고, 1532년 문과에 급제하여 벼슬길에 나갔다. 나주목사 등 13개 고을의 지방관을 역임했으나 관직을 떠난 뒤 고향으로 돌아와 환벽당을 짓고 후학 양성을 했다. 그의 제자 가운데 대표적인 인물로 정철과 김성원 등이 있다. 임진왜란 때 의병장 김덕령·김덕보 형제는 그의 종손으로 역시 김윤제의 영향을 크게 받았다.

특히 정철은 16세 때부터 27세 관계에 나갈 때까지 환벽당에 머물면서 학문을 닦았다. 환벽당 아래에 있는 조대(釣臺)와 용소(龍沼)는 김윤제가 어린 정철을 처음 만난 사연이 전해지는 곳이다.

그 사연이라 함은 “조부의 묘가 있는 고향 담양에 내려와 살고 있던 당시 14살의 정철이 순천에 사는 형을 만나기 위해 길을 가던 도중에 환벽당 앞을 지나게 됐다. 때마침 김윤제가 환벽당에서 낮잠을 자고 있었는데, 꿈에 창계천 용소에서 용 한마리가 놀고 있는 것을 보았다. 꿈에서 깬 후 용소로 내려가 보니 용모가 비범한 소년이 멱을 감고 있었다. 김윤제는 소년 정철을 데려다가 여러 문답을 하며 그의 영특함을 알게 됐다. 그는 순천에 가는 것을 만류하고 정철을 슬하에 두어 학문을 닦게 했다”는 내용이다.

정철은 이곳에서 김인후, 기대승 등 명현들을 만나 학문과 시를 배웠다. 김윤제는 정철을 외손녀와 혼인하게 하고, 그가 27세로 관계에 진출할 때까지 모든 뒷바라지를 해주었다.

환벽당은 정철의 4대손 정수환이 김윤제의 후손으로부터 사들여 현재 연일정씨 문중에서 관리하고 있다. 2013년 11월 6일에 환벽당을 비롯한 그 일원이 국가지정문화재 명승 제107호로 지정됐다.

식영정과 환벽당 그리고 송강정. 이들 정자의 사연 속에서 빼놓지 않고 등장하는 인물이 바로 송강 정철(1536∼1593년)이다.

정철은 호가 송강으로, 1561년(명종 16) 27세에 과거 급제했다. 그 뒤로 많은 벼슬을 지내다가 동인과 서인의 싸움으로 관직을 그만두고 고향인 성산에 내려와 송강정을 짓고 가사 <사미인곡> <속미인곡> <성산별곡> 등의 문학작품을 지었다.

송강정은 정면 2칸, 측면 3칸 규모로, 지붕은 측면에서 볼 때 여덟 팔(八)자 모양인 팔작지붕이다. 정면에는 ‘송강정’이라는 현판이, 측면에는 ‘죽록정’이라는 현판이 걸려 있다.






08.jpg
 




사미인곡(思美人曲)

(서사 생략)
동풍이 문득 불어 쌓은 눈을 헤쳐 내니
창밖에 심은 매화 두세 가지 피었구나
가뜩이나 쌀쌀하고 적막한데 그윽한 향기는 무슨 일인고
황혼의 달이 좇아와 배갯머리에 비치니
흐느끼는 듯 반기는 듯 님이신가
저 매화 꺾어 내어 님 계신데 보내고 싶구나
님이 너를 보고 어떻다 여기실까
꽃 지고 새 잎 나니 녹음이 깔렸는데
비단 포장이 적막하고 수놓은 장막이 비어 있다
연꽃을 수놓은 비단 휘장을 걷어 놓고 공장을 수놓은 병풍을 둘러두니
가뜩이나 시름이 많은데 날은 어찌 길던가
원앙 비단을 베어 놓고 오색실 풀어내어
금으로 만든 자로 재어서 님의 옷 지어내니
솜씨는 물론이거니와 격식도 갖추었구나
산호로 만든 지게 위에 백옥으로 만든 함에 담아두고
님에게 보내고자 님 계신데 바라보니
산인가 구름인가 험하기도 험하구나
천리만리 길을 누가 찾아갈까
가거든 열어 두고 나를 본 듯이 반기실까
하룻밤 서리 기운에 기러기 울며 갈 때에
높은 누각에 혼자 올라 수정발을 걷으니
동쪽 산의 달이 떠오르고 북극의 별이 보이니
임이신가하여 반가워하니 눈물이 절로 난다
맑은 달빛을 일으켜 내어 궁궐에 부치고 싶다
누각 위에 걸어두고 온 세상 다 비추어
깊은 산골짜기에도 대낮같이 만드소서
천지가 겨울의 추위에 얼어붙어 생기가 막히고
흰 눈이 한 가지 색으로 덮여 있을 때
사람은 말할 것도 없거니와 날짐승도 끊어져 있다
소상강 남쪽도 추위가 이와 같거늘
임 계신 곳이야 더욱 말해 무엇하랴

따뜻한 봄기운을 일으켜 내어 임 계신 데 쏘이고 싶다
초가집 처마에 비친 해를 대궐에 올리고 싶다
붉은 치마를 여며 입고 푸른 소매를 반만 걷어
해 저물 무렵 긴 대나무에 헤아림도 많기도 많구나

짧은 해가 쉬이 넘어가 긴 밤을 꼿꼿이 앉아
푸른등 걸어놓은 곁에 전공후 놓아두고
꿈에나 님을 보려 턱 받치고 기대어 있으니
원앙이불이 차기도 차구나 이 밤은 언제 샐까
(이하 생략)


*<사미인곡> 가운데 ‘본사’로, 임과의 인연과 버림받은 자신의 신세 한탄을 하는 ‘서사’에 이어 사계절 임(선조)을 그리워하는 마음을 구구절절 담고 있다.





09.jpg
면앙정
 


문학 창작의 산실 ‘면앙정’
호남 제일의 가단(歌壇) 형성

면앙정은 조선 시가문학에 크게 기여한 면앙 송순(1493~1582년)이 관직을 떠나 1533년(중종 28)에 지은 정자다.

송순은 이곳에서 후학을 양성하며 여생을 보냈다. 이황·박우·임억령 등 유명 인사들과 면앙정에서 교우하며 학문에 대해 토론하고 시 짓기를 즐겼다고 한다. 그의 문하에는 기대승·고경명·정철·임제 등이 있다. 이곳을 중심으로 호남 제일의 가단(歌壇)을 형성하기에 이른다.

정자는 정면 3칸, 측면 2칸 규모다. 추녀 끝은 4개의 활주가 받치고 있다. 중앙에 방이 있으며, 현재의 건물은 여러 차례 보수한 것이다.

‘면앙정’하면 ‘면앙정 30영’이 떠오른다. 송순이 이황·김인후·임제·임억령 등과 함께 지은 것으로, 면앙정 주변의 빼어난 산세와 풍경을 노래하고 있다.

‘한국가사문학관’ 당대 문학가 유묵 소장

담양군에서는 가사문학 관련 문화유산의 전승 보전과 현재적 계승 발전을 위해 1995년부터 한국가사문학관 건립을 추진, 2000년 10월에 완공했다.

한국가사문학관은 본관과 부속건물인 자미정과 세심정, 산방, 토산품점, 전통찻집 등으로 구성돼 있다. 특히 전시관 앞 중앙에는 넓은 못과 정자 그리고 물레방아가 어우러져 한 폭의 그림을 연출한다.

가사문학 자료를 비롯해 송순의 <면앙집> <분재기> 등과 정철의 <송강집> 및 친필 유묵등 귀중한 유물을 소장·전시하고 있다. 2002년부터는 영남의 규방가사를 비롯해 기행가사, 유배가사 등의 원본 및 필사본을 수집해 선보이고 있다.





10.jpg
한국가사문학관 전경
 



담양은 16세기 조선 초, 숨 가쁘게 호흡하던 사화(士禍)와 당쟁(黨爭)의 정치적 변동 속에서 절의를 고집했거나 정쟁에 연루돼 유배됐다가 귀향하고 낙향한 사림들이 효·충·절·의·지·심정(心情)의 인연 유대로 호남유학과 향촌의 사림문화 층을 형성하고 중흥기를 이룬 곳으로, 선비의 기개(氣槪)가 서린 곳이다.

이 선비들이 일상의 휴식과 세시가무(歲時歌舞), 유흥상경(遊興賞景)의 흥취를 시로 승화시킨 것이 곧 누정시(樓亭詩)이며, 누정을 무대로 누정시단이 흥성했다.

조선시대 가사문학의 중심을 이뤘던 무등산 자락 성산 주변의 면앙정, 서하당, 식영정, 소쇄원, 환벽당, 송강정 등은 호남시단의 찬연했던 맥박의 공간이자 자연과 하나가 되는 시간의 거처라 할 수 있다. 즉 한국문학사에 있어 불후의 명류 문사들을 배출한 산실이요, 요람인 것이다.




11.jpg
사미인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