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마루 | GEULMARU

로그인 회원가입 즐겨찾기추가하기 시작페이지로
글마루 로고


 

전북 고창, 다양한 역사와 문화가
살아 숨 쉬는 곳


글 이경숙 사진 이지영



동학농민혁명의 지도자 녹두장군 전봉준, 한국의 대표적 문호 미당(未堂) 서정주, 대한민국 제2대 부통령 인촌(仁村) 김성수, 판소리계의 대부 동리(桐里) 신재효 등 빼어난 인재가 많이 배출된 곳, 전북 고창. 고창의 자랑은 뛰어난 인재뿐 만이 아니다. 일명 ‘모양성(牟陽城)’이라고도 불리는 고창
읍성은 왜구의 침략을 막기 위해 조선 초기에 축조된 것으로 원형 그대로의 견고한 모습을 간직하고 있다.

2000년 12월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된 고창 고인돌 유적지는 다양한 모양의 고인돌이 밀집돼 있는 곳으로 전 세계적으로 유명하다. 이렇듯 다양한 역사와 문화가 공존하고 있는 고창의 이야기가 궁금해진다.


지리적으로 전라북도 서남단에 위치해 있는 고창은 동남쪽 노령산맥을 중심으로 전라남도와 경계를 이룬다. 북쪽의 일부는 곰소만을 넘어서 부안군에 인접해 있고, 서쪽으로는 바다를 접하고 있다. 또한 고창은 군 한 가운데 방장산(方丈山)에서 발원한 인천강(仁川江)이 흐르고 있어 비옥한 평야가 형성돼 있다. 이처럼 고창은 산과 강·바다·평야 등 천혜의 조건을 고루 갖추고 있어 예부터 사람이 살기 좋은 생명의 고장이었음을 짐작해 볼 수 있다.

고창을 답사하며 ‘구경 한 번 와 보세요/ 보기엔 그냥 시골 장터지만/ 있어야 할 건 다 있고요/ 없을 건 없답니다~ 화개장터’라는 어느 유행가의 가삿말이 머릿 속에 떠올랐다. 고창을 생각하며 전라도와 경상도에 얽힌 가삿말이 생각난다는 게 다소 엉뚱하게 들린다. ‘고창이 장터와 연관이 있나’라는 의문도 들 수 있다. 다름 아닌 ‘고창엔 있어야 할 건 다 있다’라고 말하고 싶어서이다. 아기자기하면서도 다양한 볼거리가 있어 걸음이 끊이
지 않고 이어지는 곳, 전북 고창이다.


01.jpg
고창읍성 성곽길
 


02.jpg
고창읍성 북문
 


유비무환(有備無患)의 지혜 ‘고창읍성’

답사팀은 서울을 출발해 3시간 반 정도를 달려 고창군 읍내에 자리한 고창읍성을 먼저 찾았다. 고창읍성은 조선 세조 32년(1450) 전라우도 19개 군·현이 참여해 3년만인 단종 원년(1453)에 완공됐다. 모양성(牟陽城)이라고도 불리는 고창읍성은 총 둘레 1684m, 높이 4~6m, 면적은 16만 5858㎡에 달한다. 왜구의 침략을 막기 위해 전라도민들이 자연석을 이용해 축조했으며, 동·서·북문과 3개소의 옹성(성문 접근을 차단하기 위해 이중으로 쌓은 성벽), 6개소의 치성(성벽의 바깥으로 덧붙여서 쌓은 벽)을 비롯해 성 밖의 해자(성곽이나 고분의 둘레를 감싼 도랑) 등 전략적 요충 시설을 고루 갖추고 있다. 고창읍성의 성곽은 다행히 원형 그대로 잘 보존돼 있다. 그 중 눈에 들어오는 것이 있었는데, 바로 큰 돌의 틈을 메우고 있는 작은 돌들이다. 자연석을 그대로 사용해 축성하다보니 어쩔 수 없이 생기는 틈을 백성들이 작은 돌 하나라도 끌어 모아다가 막아 놓은 것이다. 작은 구멍 하나까지라도 메워져 있는 튼튼한 성곽길을 따라 걸으니 나라를 지키고자 했던 우리 조상들의 염원이 그대로 전해지는 듯했다.

성곽길을 따라 북문인 ‘공북루’쪽으로 나오다 보면 답성놀이상이 보인다. 답성놀이는 ‘머리에 돌을 이고 성을 한 바퀴 돌면 다릿병이 낫고, 두 바퀴 돌면 무병장수하고, 세 바퀴 돌면 극락에 간다’는 이야기에서 비롯된 성밟기 놀이로, 저승문이 열리는 윤달에 밟아야 효험이 있다고 전해진다. 같은 윤달이라도 3월 윤달이 또 제일 좋다고 한다. 이는 우리 선조들의 지혜를 엿볼 수 있는 것으로 겨우내 부풀었던 성을 밟아 흙을 굳게 하기 위한 의도가 담겨져 있다. 또한 돌을 머리에 이게 함으로써 체중을 늘려 더욱 단단히 흙을 다지고자 했을 것이다. 답성놀이(음력 9월 9일)는 현재까지도 이어지며 보존되고 있다.



03.jpg
 

   


세계 최대 고인돌 유적지, 고창

고창하면 누구나 떠올리는 것이 있다. 바로 고창군 로고에서도 엿볼 수 있는 ‘고인돌’이다. 고인돌은 청동기 시대 대표적 무덤양식이며, 한반도에서는 약 3000년 전에 만들어진 것으로 추정된다. 한반도에는 약 3만 여기의 고인돌이 분포돼 있고, 그 중 약 10%인 3000여기가 전북 지역에 밀집돼 있다. 전북 지역에서도 고인돌 60% 이상이 고창지역에 분포돼 있는 것으로 파악된다.

2000년 12월 강화·화순과 함께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에 등재된 고창 고인돌 유적지는 500여기 이상의 고인돌이 밀집 분포돼 있으며, 단일구역상으로는 최대 밀집 규모를 자랑하고 있다. 또한 고창은 고인돌 박물관이라는 이름까지 붙여질 정도로 크기·형식·모양 등 다양한 형태의 고인돌이 골고루 분포돼 있다. 고인돌의 한반도 유입 경로는 뚜렷하지 않다. 하지만 고인돌 문화가 한반도에서 융성했음은 확실하다. 고창 고인돌은 국내뿐 아니라 세계적으로도 유명해 외국인들도 즐겨 찾는 관광명소가 됐다.

고인돌 유적지를 답사하기 전 꼭 들려야 할 곳이 있다. 고창읍에 위치한 고인돌 박물관이다. 청동기인들의 생활상과 고인돌 제작과정 등이 모형으로 잘 전시돼 있어 현장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된다.

고인돌은 제작 방식에 따라 탁자식·기반식·개석식·위석식으로 구분된다. 그 중 개석식 고인돌이 가장 보편적인 무덤형태로 쓰였으며, 청동기 유물들 대부분이 개석식에서 출토됐다. 개석식은 지하에 시신을 묻는 무덤방을 만들고 그 위를 뚜껑 돌로 덮는 형태를 말한다. 고인돌은 형태의 다양성뿐 아니라 그 기능도 여러 가지다. 첫째는 우리가 일반적으로 알고 있는 무덤으로서의 기능이다. 둘째는 제단으로서의 기능이다. 많은 사람들의 협력과 단결력 없이는 제작하기 어려운 거대 고인돌을 여러 사람들이 함께 제작하게 함으로써 부족의 결속력을 다졌다고 볼 수 있다. 셋째는 묘표석으로서의 기능이다. 묘표석은 묘역을 상징하는 기념물 또는 묘역 조성 집단의 권위와 위용을 드러내기 위한 의미가 담겼던 것으로 여겨진다.



04.jpg
탁자식 고인돌
 


05-1.jpg
고창 고인돌 유적지
 

06.jpg
 


07.jpg
청동기인의 생활상을 모형으로 재현
 


청동기인들은 하필 옮기기도 어려운 커다란 돌을 이용해 고인돌을 만들었을까. 그것은 선사인들의 종교성 때문이었을 것으로 추측해 볼 수 있다. 사람도 동물도 식물도 죽으면 한줌의 흙으로 그저 사라지고 만다. 하지만 돌은 신기하게도 어떠한 환경에도 쉽게 변하지 않고 사라지지도 않으니, 그 곁을 영원히 지켜줄 수 있는 대상으로 여겼을 것이다. 어느 경서에 신이 모든 것을 창조하고 사람에게는 영원을 사모하는 마음을 주었다고 했던가. 당시 선사인들은 현세(現世)뿐 아니라 죽어서도 영혼의 삶은 지속될 것이라는 믿음이 있었으며, 고인돌이 죽은 사람의 영혼까지 지켜줄 수 있으리라 믿었던 것이다. 몇 천 년이 지난 오늘까지도 우뚝 서서 그 자릴 지키고 있는 고인돌을 보고 있자니, 우리 조상들의 믿음이 어쩌면 헛일은 아니었다는 생각이 든다.

고인돌을 촬영하던 도중 답사팀은 갑작스럽게 내린 소나기를 맞았다. 비에 젖은 고인돌을 보고 문득 ‘오랜 세월 모든 풍파를 이렇게 이겨왔구나’ 생각하니, 말 없이 제 주인의 곁을 지킨 돌이 기특해 보였다. 고인돌도 우리의 마음을 알아챘는지 빗방울을 차례차례 떨어뜨리며, 답사팀에 화답하는 듯했다.



08.jpg
 

선운사, 구름 속에서 도를 닦는 곳

선운사에 가신적이 있나요
바람불어 설운날에 말이에요
동백꽃을 보신적이 있나요
눈물처럼 후두둑 지는 꽃 말이에요
나를 두고 가시려는 님아
선운사 동백꽃 숲으로 와요
떨어지는 꽃송이가 내맘처럼 하도 슬퍼서
당신은 그만 당신은 그만 못 떠나실거예요
선운사에 가신적이 있나요
눈물처럼 동백꽃 지는 그곳 말이에요

노래 ‘선운사’ 가삿말 - 송창식


09-1.jpg
선운사
 

천오백년 고찰 선운사는 백제 27대 위덕왕 24년(577), 검단스님이 창건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검단스님의 선운사 창건 관련에는 여러 가지 설화가 등장한다.

본래 선운사의 자리는 용이 살던 큰 못이었는데, 검단스님이 용을 몰아내고 돌을 던져 연못을 메워나가고 있었다. 그 무렵 마을에 심한 눈병이 돌기 시작했는데, 어느 날 못에 숯을 한 가마 갖다 부으니 눈병이 씻은듯이 낫게 됐다. 이를 기이히 여긴 마을 사람들은 너도나도 할 것 없이 숯과 돌을 못에 갖다 부었고, 큰 못은 금방 메워지게 되었고, 이 터 위에 선운사를 세웠다는 것이다.

또 한 가지 설화로는 이 지역에 전쟁 난민이 많았는데, 검단스님이 불법(佛法)으로 이들을 선량하게 교화시켜 소금을 구워서 살아갈 수 있는 방도를 가르쳐주었다고 한다. 마을 사람들은 스님에게 받은 은혜를 잊지 않고 보답하기 위해 해마다 봄·가을이 되면 절에 소금을 갖다 바쳤다고 한다. 이를 ‘보은염(報恩鹽)’이라고 불렀다. 선운사가 위치한 곳은 해안과 그리 멀지 않은 곳으로 얼마 전까지만 해도 염전이 일궈졌다. 이러한 사실을 바탕으로, 염전을 일궈 재력을 확보해 사찰을 창건했다는 설화도 전해진다.

검단스님은 “오묘한 지혜의 경계인 구름(雲)에 머무르면서 갈고 닦아 선정(禪)의 경지를 얻는다”하여 절 이름을 ‘선운’이라 지었다고 한다. 답사팀이 선운사를 찾은 날은 마침 구름이 선운산을 뒤덮고 있어 구름 속에 자리한 듯했다. 검단스님의 오묘한 표현에 중생의 깨달음은 더디나, 스님도 구름이 감싸고 있는 선운산의 경치에 매료되지 않았을까.


10.jpg

동불암지 마애여래좌상

 


조선 후기 선운사가 번창할 무렵에는 89개의 암자와 189개에 이르는 요사(寮舍)가 산중 곳곳에 흩어져 있을 정도로 장엄한 불국토를 이뤘다.

또한 선운사는 오랜 역사와 함께 대웅보전(보물 제290호), 소조비로자나삼불좌상(보물 제1752호), 금동지장보살좌상(보물 제279호), 도솔암 마애불(보물 제1200호) 등 많은 불교 문화재를 보유하고 있다.


선운사 골째기로
선운사 동백꽃을 보러 갔더니
동백꽃은 아직 일러
피지 않했고
막걸리집 여자의
육자배기 가락에
작년 것만 상기도 남었습니다.
그것도 목이 쉬어 남었습니다.


- ‘선운사 동구’ 모두 - 서정주



11-1.jpg
선운산 천마봉
 

선운사는 동백꽃 군락지로도 유명해 많은 시인 묵객들에게 영감을 주어 사랑 받는 명소이기도 하다.


기암바위와 푸르름이 조화를 이룬 선운산

고즈넉이 자리잡은 선운사(禪雲寺)를 감싸 안은 선운산. 선운산은 고창군 아산면에 위치해 있으며, 해발 336m로 그리 높지 않은 산이다. 본래 그 이름은 도솔산(兜率山)이었으나 백제 때 창건한 선운사로 인해 선운산으로 고쳐 불리게 됐다. 주변으로는 경수산(444m)·천마봉(284m)·국사봉(346m)·낙조대·배맨바위 등이 우뚝우뚝 솟아 있어 사계절 뛰어난 절경을 이룬다.

일행은 선운사를 지나 도솔암으로 향했다. 도솔암 근처에 도착하면 천연기념물 제354로 지정된 장사송(소나무)을 볼 수 있다. 장사송 뒤쪽의 기암절벽에는 굴이 하나 있다. 바로 진흥굴이다. 진흥굴은 평소 불도에 관심이 많았던 진흥왕이 왕위를 물려주고 승려가 된 후 불도를 닦았다고 전해지는 곳이다.

조금 더 걸으니 바로 도솔암이 눈에 들어왔다. 찜통 같은 더위를 물리치기 위해 일단 시원한 약수부터 한잔 떠 마셨다. 도솔암에는 동불암지에 부조로 새겨진 마애여래좌상이 유명하다. 전체 높이 15.6m, 폭8.48m로 조각된 마애여래좌상은 고려후기에 제작된 것으로 추정된다.

마애여래좌상의 얼굴을 묘사하자면 가느다란 실눈과 유난히 우뚝 솟은 코, 일자형으로 꽉 다문 입술. 화산암의 특성으로 인해 섬세하고 부드럽게 조각됐다고는 보기 어렵지만 나타내야 할 것들은 충분히 표현된 듯하다. 어깨를 감싸고 있는 옷주름, 무릎에 가지런히 놓인 두 손, 가부좌 튼 자세, 연꽃무늬를 새긴 계단 모양의 받침돌까지 암벽에 나타나 있다.

마애여래좌상의 명치 끝에는 검단선사가 쓴 비결록이 있었던 감실이 있다. 조선 말 전라도 관찰사로 있던 이서구가 감실을 열자 갑자기 풍우와 뇌성이 일어 그대로 닫았는데 책머리에 ‘전라도 감사 이서구가 열어본다’라는 글귀가 쓰여 있었다고 한다. 이 비결록은 19세기 말 동학의 접주 손화중이 가져갔다고 전한다.

도솔암을 거쳐 천마봉을 찾아 올랐다. 어려운 코스는 아니었기에 산책하는 기분으로 한발 한발 걸음을 옮겼다. 드디어 보이는 해발 284m의 천마봉. 천마봉에 오르니 정면으로 내원궁과 동불암지에 새겨진 마애여래좌상이 한눈에 내려다 보였다. 그리고 사방 곳곳에서 형체를 드러내고 있는 기암바위들은 절경을 연출해낸다.



12.jpg

선운산 낙조대에서 바라본 풍경

 


선운산은 중생대 백악기(약 1억 3500만 년~6500만 년 전) 화산활동에 의해 생겨난 화산암으로 이뤄져 있다. 그래서인지 바위의 생김새가 역동적이며, 무언가 흘러 내릴 듯한 협곡형태의 모양도 생성돼 있다. 과연 선운산은 ‘호남의 내금강’이라 불릴 만한 비경을 자랑한다.

화산암은 용암이 지표에서 냉각될 때 포함돼 있던 가스가 빠져 나가면서 곳곳에 구멍이 생겨난다. 시간이 흐르면서 많은 풍화작용을 겪은 화산암은 흙이 쌓이고 쌓여 가스로 인해 생겨난 구멍이 메워지게 된다. 그 자리에 씨앗이 날아들어 뿌리를 내리고, 바위에서 한송이 꽃이 피게 된다. 자연이 빚은 아름다운 조형물이 탄생하게 되는 배경이다. 가만히 들여다 보면 선운산의 바위들은 끈질긴 생명체들로 똘똘 뭉쳐져 있는 듯하다.

천마봉을 지나 다음 코스로 이어지는 곳은 낙조대이다. 낙조대에서 바라보는 서해일몰이 일품이라 하는데 답사팀은 아쉽게도 직접 감상할 순 없었다. 하지만 꼭 일몰은 아니어도 신록이 찾아든 선운산의 풍경을 즐기기에 낙조대는 부족함이 없다.

‘그저 여기가 좋사오니…’